호랑이가 늑대에게 이자3%를 붙여서 돈을 빌려주었습니다.
늑대는 토끼에게 6%이자를 붙여 돈을 빌려줍니다.
하지만 늑대가 호랑이에게 받은 이자 3%보다 더 낮은 2%만 토끼에게 붙여서 빌려준다면 어떻게 될까요?
늑대는 호랑이에게는 3%를 주면서 토끼에게는 2%만 받으면 적자 겠죠?
그래서 늑대는 토끼에게 항상 호랑이게 줄 이자보다 더 높은 이자를 붙여 토끼에게 주기로 했답니다.
위 이야기에세 호랑이와 늑대 토끼는 각각 누구를 뜻할까요?
호랑이는 한국은행, 늑대는 시중은행(KB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등), 토끼는 시중은행과 거래하는 고객이라고 보면 쉽습니다.
기준 금리란?
기준금리는 호랑이(한국은행)가 늑대(시중은행)에게 빌려주는 이자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기준금리를 정하는것은 한국은행과 시중은행이 발행하는 7일 환매 조건부 채권을 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1999년부터는 콜금리가 기준 금리역할 이었으나, 2008년 3월부터 호나매조건부채권(RP)금리의 기준으로 정해지고 있습니다.)
시중금리란?
시중금리는 늑대(시중은행)가 토끼(고객)에게 대출등으로 돈을 빌려주고 받는 이자 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민간 금융기관이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예금, 대출 이자등을 표현할때의 금리를 시중금리라고 합니다.
말그대로 시중에서 보통 사용하는 금리 라고 생각해도 무리 없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xx은행의 대출이자가 4.9%다 라고 할때 4.9%가 시중금리가 되는 것입니다.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차이나는 이유는?
늑대(시중은행)가 호랑이(한국은행)에게 줄 이자보다 더 낮게거나 같게 토끼(고객)에게 빌려준다면 당연히 손해겠죠?
그래서 늑대(시중은행)가 토끼(고객)에게 빌려줄때는 호랑이(한국은행)에게 줄 이자에 운영비용, 유지비, 받지 못할 경우 등을 더 얹어 계산하여 토끼(고객)에게 받을 이자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렇듯 시중은행은 한국은행에게 줄 이자보다 고객에게 받을 이자를 더 높이 받아야 이윤을 남길 수 있기에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차이가 나는 이유 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차이나는 이유는?
기린은 독수리땅에서 놀면 3%의 이자를 받기로 했고, 호랑이 땅에서는 5%의 이자를 받기로 했습니다.
기린은 어느 땅에서 노는게 이득일 까요? 당연히 이자가 더 높은 호랑이 땅이겠죠?
호랑이는 자기네 땅에서 놀게 하기 위해서는 독수리보다 조금이라도 많은 이자를 주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독수리가 갑자기 자기네땅에서 놀면 7%를 준다고 하면 어떨까요?
기린은 당연히 호랑이땅에서 놀다가 이자가 더 높은 독수리 땅으로 이동 하겠죠?
여기서 기린은 외국인 투자자, 독수리땅은 미국 시장, 호랑이 땅은 한국 시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한국금리보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진다면?(한미 금리 역전)
그동안 한국은 미국보다 기준금리를 높여 왔는데 미국에서 자인언트 스텝으로 인해 금리가 역전이 된 상황입니다.
2020년 2월 이후 처음인으로 한미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 했습니다.
그렇다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에있는 주식을 팔고 자금을 빼서 미국으로 옮겼을까요?
아니요 오히려 한국에서의 투자를 늘렸다고 합니다.
이유로는 2016년, 2019년 금리 역전 폭이 1% 선까지는 금리 역전만으로 외국인들이 자금을 빼는일은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한미 금리 역전 보다는 원화의 방향성을 기준으로 좌우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금리인상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금리가 인상되면 자연히 대출에 대한 심리도 크게 위축이 됩니다. 대출을 받는 대표적인 이유로 부동산이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도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크게 위축이 되면서 최근에는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집을 사기위해서 대출을 끼고 구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대출 이자가 높아졌으니 꼭 사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려고 하질 않기 때문입니다.
살려는 사람은 줄고, 팔려는 사람이 많아지다보니 매물이 쌓이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그와중에 대출이자에 못이겨 집을 빨리 팔기위해서는 집값을 내리는 경우가 생기고 이것이 쌓이다보면 평균적으로 집값이 하락하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앞으로 미국 금리에 맞춰 한국 금리도 오를 예정이라는 의견이 많은 상태라 앞으로 부동산시장이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