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매도의 모든것

by 모두경제 2022. 8. 4.
반응형

주식이나 가상화폐를 거래해본 적이 있다면 공매도에 대해서도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공매도는 영어로 Shot Selling, 줄여서 숏이라고 칭합니다.

공매도란?

주식은 기본적으로 내가 샀던 가격보다 오르면 팔 때 차익만큼 수익을 보는 구조입니다.

공매도는 반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파는 개념이기에 주식의 하락장일 때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양날의 검과 같이 내가 정해놓은 주식이 떨어질걸 예상했는데, 오히려 오른다면 손해를 보기 때문에 투자를 더욱 신중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주식시장에서는 주식을 산 다음에 나중에 파는 방식(매수 후 매도)이 순서입니다. 하지만 자신에게 없는 물건을 먼저 팔고 나중에 그것을 사서 넘기는 방식(해도 후 매수)입니다.

공매도 예시

A라는 주식의 한 주당 가격이 현재 100만 원입니다. A주식을 먼저 시장에 한 주를(100만 원) 팝니다. 나중에 A주식이 한 주당 90만 원으로 떨어지게 되면 먼저 팔았던 한 주를 메웁니다. 그럼 한 주를 먼저 팔고 한주를 샀으니 개수 측면에서는 동일하지만, 가격적인 측면에서 보면 100만 원에 팔고 90만 원에 샀으니 10만 원을 이득을 본 셈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100만 원에서 110만 원으로 한 주당 가격이 오르게 되면 오히려 110만 원으로 한 주를 채워 넣어야 하니 10만 원이 손해 보게 됩니다.

100만 원이었던 한 주당 가격이 갑자기 천정부지로 오르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손실은 계속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100만 원이었던 한 주당 가격이 0에 수렴한 1원 정도가 된다면 수익은 100만 원 가까이 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듯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위험성이 매우 높은 방법입니다.

공매도의 장점

그럼 공매도가 무조건 나쁜 점만 있는 걸까요? 지나치게 과열된 주식시장을 안정시키는 작용도 합니다.

투기 세력이 특정 주식을 왕창 사들이게 되면 주식은 갑자기 급등하게 됩니다. 하지만 주식은 회사의 가치를 보여주는 자료이기에 특정한 이슈가 없음에도 급등한 것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감지하게 되고, 기관이나 개인투자자들이 공매도를 통해 현재가치로 회귀할 것을 예상을 한다면 투기세력이 함부로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기관투자자들 입장에서도 공매도를 통해 손실을 최소화하는 역할로도 쓰이게 됩니다. 기관은 보험이나 연금 등 이용자들에게서 받은 금액으로 운영을 하여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주가가 떨어지게 되면 손실이 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주가 하락이 예상이 되면 공매도를 통해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쓰이기도 합니다.

공매도의 단점

위에서 언급했듯이 주식을 빌리고 나중에 갚는 방식이기에 한 주당 가격이 급상승하는 경우에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공매도로 수익을 보기 위해서 안 좋은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바로 공매도를 한 후 해당 주식에 대해 안 좋은 소문을 의도적으로 퍼트리거나 위험을 가하는 등의 수법으로 이득을 보려고 하는 범죄가 해외와 국내 모두 실제로 있기도 했습니다.

단적인 사례로 현재도 진행 중인 게임스탑 주가폭등 사건, 국제 니켈 선물시장 대란, 한국투자 증권 불법 공매 도사 건등만 봐도 공매도의 시스템을 악용한 사례 등이 많이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공매도에 대한 대책

우리나라는 코로나 이후 약 1년 정도 공매도가 금지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주식이 거의 폭락장이다 보니 공매도 세력이 막대한 이익을 얻을 상황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 5월부터는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 종목에만 공매도를 가능하도록 지정하였습니다. 공매도의 무분별한 남용과 질서 유지를 위해 정부에서는 다음 조건에서는 하루 동안 공매도를 금지시키기로 했습니다.(조건 1. 공매도 6배 이상 증가, 조건 2, 주식이 5% 이상 하락, 조건 3 공매도 비중이 30% 이상) 

 

이렇듯 공매도에 대해서 무조건 안 좋다고 볼 수 없고, 그렇다고 무조건 좋다고도 볼 수 없습니다.

공매도의 단점에 대해 정부에서는 보완점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