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의 의미
일단 물가 상승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 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건 물건 가격이 오른다고 가볍게 생각하실 수 있는데 물건 가격이 오른다기보다 화폐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을 하시는 게 쉽습니다.
예를 들어서 시금치가 한 단에 원래 천 원이었는데 그게 이천 원으로 오르면 시금치 한단이 이천 원이 됐다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 천 원의 가치가 절반으로 떨어졌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러니까 원래 천 원으로는 시금치 한 단을 살 수 있었는데 이제 반 단밖에 못 산다고 생각하는 게 더 정확합니다.
정부가 뽑아내는 이 신형 화폐를 계속 시중에 풀기 때문에 돈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서 돈의 가치가 당연히 하락하게 됩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돈이라는 물건의 공급이 많아질수록 가격이 싸지게 되는 것입니다.
팔려는 사람이 살려는 사람보다 더 많으면 가격을 내려야 그나마 팔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
물가라는 것은 보통 수요가 올라가서 물가도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게 제일 좋은 선순환 구조입니다.
다시 말해 경기가 좋아서 기업이나 일반 사업자들이 투자를 많이 해서 그만큼 매출이 잘 나오고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서 고용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러면 실업률이 감소하고 그렇게 늘어난 고용인들의 소비가 늘어나고 그렇게 소비가 늘다 보면 수요가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런 식으로 물가가 오르고 있지 않습니다.
반대로 공급이 감소해서 물가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수요 공급 법칙입니다.
지금 전쟁 때문에 원자재 가격이 굉장히 많이 상승했습니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은 원자재가 귀해진다는 것이고 따라서, 원자재의 공급이 부족해진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렇게 모든 물건들은 이 원자재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우리가 기계를 만들려면 기름(원자재)이 필요하고 기름 가격이 올라가면 기계를 통해서 만들어진 물건의 가격도 자연히 상승하기 마련입니다. 지금 이 기계에 의해 물가가 올라가는 것이고 그렇게 해서 경기가 좋으면 물건 가격 상승과 동반해서 자산 가격도 상승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반대인 상황입니다. 물건 가격은 올라가는데 자산 가격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물가는 올라가는데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지는 것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물가 상승의 위험성
물가가 올라가면 왜 위험한 걸 까요?
물가가 올라간 만큼 임금도 올라가고 이렇게 좀 최소한 평화롭게 하면 안 되냐 이런 생각하실 수 있으나 실제로 물가가 오른 만큼 임금도 오르고 그렇게 해서 지금의 상황이 된 것입니다. 그런데 이 시스템을 중간에서 조율을 안 해주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로 하이퍼 인플레이션입니다. 베네수엘라 같은 경우를 보면 물가 상승률이 35만 % 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 돈의 가치를 아무도 못 믿게 됩니다.
물가 상승을 계속 방치하면 아무도 돈의 가치를 믿지 않는 사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물가를 전혀 잡을 수가 없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아무도 돈을 못 믿는 상태를 조심해야 합니다.
물가 상승을 막는 방법
물가 상승은 쉽게 말해 돈의 가치가 하락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그렇다면 해결 방법은 반대로 돈의 가치를 올리면 되는 것입니다.
이 돈의 가치를 올리는 방법은 금리를 높이는 것입니다.
은행이 나한테 예금 이자를 더 많이 준다는 것은 은행이 그만큼 돈을 더 필요하다는 것이고 돈을 줬을 때 그 돈의 가치를 더 높이 쳐준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금리를 높인다는 것은 결국 돈의 가치를 높인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금리가 높아지면 왜 자산 가격이 하락할까요. 돈의 가치가 높아지면 그 돈을 사람들이 가지고 싶어 지죠.
그러니 주식 같은 위험한 자산보다 은행에 예금하면 더 안정적일 수익이 더 높은 형태로 나한테 주어진다. 그렇게 되면 이제 사람들이 갖고 있는 자산을 팔게 되는 거고 이런 상황을 한두 명이 알고 예측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다수가 자산을 팔기 시작합니다. 그럼 주식시장에 매도세가 엄청나게 강해지고 그것에 따라 주식 시장은 공포에 휩싸이게 됩니다. 그러면서 더 자산 가격은 떨어지고 지금처럼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입니다.
세계적인 주식 시장의 침체와 더불어 금리 인상에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삼중 고를 겪고 있습니다.
어서 지금의 악순환을 끊고 선순환으로 들어서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