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물로 끌 수 없는 불, 금속화재, 종류별 소화 방법

by 모두경제 2024. 6. 30.
반응형

혹시 금속화재(D급 화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목재, 종이, 기름으로 인한 화재가 아니라 리튬, 나트륨과 같은 금속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를 말합니다.

최근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의 사용 증가로 금속 물질 사용이 늘어나면서 금속화재 위험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금속화재 발생 현황

발생 건수는 2016년 25건에서 2023년 40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피해액 또한 2016년 1.32억 원에서 2023년 5.42억 원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발생 건수와 피해액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금속화재, 왜 위험할까?

금속화재는 일반적인 화재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더욱 위험합니다.

  • 물과 반응: 금속 물질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폭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소화 방법으로는 진화가 어렵습니다.
  • 특수 소화약제 필요: 금속화재 진압에는 마른 모래나 특수 소화약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일반 가정이나 사업장에는 이러한 소화 장비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 대형화재 가능성: 금속화재는 연소 속도가 빠르고 진화가 어려워 대형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속화재 예방,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금속화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우리 모두가 금속화재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 금속 물질 안전하게 보관: 금속 물질은 습기나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 금속화재 대비 교육: 금속화재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 소화 장비 구비: 금속화재 진압에 필요한 소화 장비를 구비해야 합니다.

화재 종류별 소화 방법 

 

화재 종류 원인 물질 소화 방법
A급
(일반화재)
연소 후 재를 남기는 목재, 섬유, 종이류 등의 일반 가연물 주로 물을 사용하여 불에 타는 물질의 열을 제거하는 냉각소화
B급
(유류화재)
석유, 가스, 오일, 페인트, 인화성·가연성 액체 등 공기를 차단하는 질식소화나 소화기 사용, 물 뿌리면 폭발 위험
C급
(전기화재)
전기 스파크, 단락, 과부하 등 전류가 흐르는 기기·배선 전기적 절연성을 가진 특수 소화약제, 물 뿌리면 감전 위험
K급
(주방화재)
주방에서 동식물유(식용유 등)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 유막을 형성시켜 산소공급을 차단하는 K급 소화기 사용
D급
(금속화재)
리튬,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등의 가연성 금속 마른 모래를 뿌리거나 팽창 질소와 같은 특수소화약제·소화기 사용, 물 뿌리면 폭발 위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