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V란?
담보 인정 비율은 부동산 담보 대출과 같은 대출 종류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대출을 신청할 때, 대출자가 보유한 담보물의 가치를 평가하고, 그 가치의 일부만을 대출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바로 담보 인정 비율(LTV)입니다.
LTV의 예시
예를 들어, 대출자가 부동산 담보 대출을 신청한다면, 담보 인정 비율은 해당 부동산의 시가 또는 감정 가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해당 부동산의 시가가 1억 원이고, 담보 인정 비율이 70% 라면, 대출자는 최대 7천만 원의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담보 인정 비율은 대출금액과 이자율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높은 담보 인정 비율은 대출자가 보유한 담보물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어 대출액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대출금리도 낮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담보 인정 비율이 낮으면 대출액이 제한되어 대출자가 필요한 금액을 대출받기 어렵고, 대출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 신청 시 담보 인정 비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출액과 대출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담보 가치 산정 방법
은행이 아파트 담보 가치를 산정할 때는 네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합니다. 그러나 단독주택, 빌라, 다가구 주택 등과 같이 아파트가 아닌 담보물건의 경우, 은행이 자체적으로 평가 기준을 정할 수 있습니다.
① 국세청이 공시한 기준 시가 이내의 가격
② 감정평가 업자가 산정한 감정평가액 이내의 가격
③ 한국감정원에서 제공하는 층별 및 호별 격차율 지수로 산정한 가격 이내
④ KB 부동산시세의 일반평균가격 이내의 가격
최근 가계부채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정책 차원에서는 담보인정비율을 비롯하여 대출 기준을 과거에 비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담보인정비율은 주택 보유 수와 소득 수준, 그리고 아파트 위치 등의 세부 요건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댓글